TwoDiPage에서 pI, MW값 계산하기 Size marker들의 (MW, RM), pI marker들의 (pI, 위치)의 자료값을 이용하여 RegressionAnalysis나 보간법을 사용하여 함수를 유도한다. 여기서 유도된 pI, mw함수에 spot위치를 넣어서 실험적 pI, mw값을 알수 있다. == Molecular Weight == 2D gel의 SDS-PAGE에서는 mw size marker를 사용하고 size marker의 위치는 relative mobility(RM)로 계산된다. {{{ well로부터 marker까지의 길이 relative mobility = ------------------------- well로부터 dye front까지의 길이 }}} 분자량 도출을 위해 사용하는 RegressionAnalysis 모델은 다음과 같다. y는 분자량, x는 relative mobility * Quadratic (15% gel에 가장 적절) {{{#!latex $$ \log(y) = a + bx + cx^2 $$ }}} * Cubic (Unknown MW산출에 효과적) {{{#!latex $$ \log(y) = a + bx + cx^2 + dx^3 $$ }}} * Log Linear {{{#!latex $$ \log(y) = a + bx $$ }}} * Log-Log (12.5% gel에 가장 적절) {{{#!latex $$ \log(y) = a + b \log x + c log(x^2) $$ }}} * SLIC (gradient gel에 가장 적절) {{{#!latex $$ \log(\ln(y)) = a + b\ln(-\ln(x)) $$ }}} == pI == IsoelectricFocusing에서의 pI marker의 위치는 절대위치로 SimpleRegressionAnalysis를 사용하여 시료의 pI을 도출한다. {{{#!latex $$ y = a + bx $$ }}} 상용 pI gel strip을 사용할 경우 이미 길이와 pI range가 결정되어 있다. ---- [[Python]]소스 : [[CalculatePiMwInTwoDiPage.py]]